본문 바로가기
여러이슈/기타이슈

에어컨 설치 방법 완벽 가이드: 실내기부터 실외기까지 순서대로 따라하기

by 희석이 2025. 5. 19.

에어컨 설치 방법 완벽 가이드: 실내기부터 실외기까지 순서대로 따라하기

 

에어컨 설치 방법 완벽 가이드: 실내기부터 실외기까지 순서대로 따라하기

에어컨 설치, 기사님만 할 수 있다고요? 기본 순서만 알면 셀프 설치도 어렵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 진짜 장난 아니죠. 창문 열어도 무슨 드라이기 바람 나오는 느낌이라, 결국 에어컨 설치를 결심했는데요. 시공기사님들 예약이 밀려서 직접 설치하는 걸 고민하던 중, 유튜브와 블로그, 설명서를 뒤져가며 과감히 도전해봤습니다. 결과요? 지금 이 글 쓰는 순간에도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만족 중이에요! 오늘은 저처럼 직접 설치하거나 과정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실내기부터 실외기까지 에어컨 설치 전 과정을 순서대로 안내해 드릴게요.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할게요.

 

설치 전 준비물 및 체크리스트

에어컨 설치 전에 필요한 준비물부터 점검해볼게요. 공구가 없으면 아무리 마음이 있어도 설치 못 하거든요. 필수 준비물로는 드릴, 수평자, 진공 펌프, 몽키스패너, 절연테이프, 배관 테이프, 실리콘 등입니다. 설치 위치는 반드시 창문 근처나 외벽 쪽이어야 배관 작업이 용이하고, 실외기까지 배선 연결이 수월해요. 전원 콘센트는 접지 포함 여부도 체크해야 하고요.

실내기 설치: 위치 선정과 고정

항목 설치 기준
설치 높이 바닥에서 2~2.2m 정도
좌우 여유 공간 20cm 이상 확보
벽면 구조 석고보드보다 콘크리트나 목재 추천

배관 연결: 동관, 배수호스, 전선 정리

실내기를 고정한 후에는 배관 작업이 이어져요. 냉매가 흐르는 동관은 반드시 커넥터를 꽉 조여야 가스 누설이 없고, 배수호스는 실외기 쪽으로 자연스럽게 경사를 둬서 물이 잘 빠지게 해야 합니다. 전선은 전원선과 통신선을 구분해서 정리하고, 배관 테이프로 전체를 감싸서 깔끔하게 마무리하면 완벽! 여기서 실수하면 물이 새거나 가스가 새는 참사가 벌어지니까 진짜 꼼꼼하게 확인해야 해요.

  • 배관 테이프는 겹겹이, 수분 방지 필수
  • 배수호스는 배관 하단에서 시작되도록 연결
  • 동관 끝은 플레어 작업 후 고정

실외기 설치: 통풍과 수평이 관건

실외기 설치는 생각보다 민감한 작업이에요. 통풍이 안 되는 곳에 설치하면 냉방 성능이 뚝 떨어지고, 전기세는 올라가요. 또 수평이 맞지 않으면 진동이 심하고 고장도 쉽게 납니다. 기본적으로 바닥은 고무 받침대나 진동 방지 패드를 깔고, 벽걸이형은 앵글 브래킷을 사용해 단단히 고정해야 해요. 실외기와 실내기 간 거리도 5m 이하로 유지하는 게 이상적입니다.

진공작업과 가스 누설 확인

진공 작업 단계 내용
진공 펌프 연결 저압 밸브에 펌프 연결 후 진공 시작
진공 유지 시간 약 10~15분 이상 유지 필요
가스 누설 테스트 누설탐지제 또는 비눗물 테스트

전원 연결 및 작동 테스트

  • 실내기 전원선 연결 후 리모컨 작동 확인
  • 실외기 작동 여부 및 소음 확인
  • 약 5~10분 후 냉기 분출 확인되면 정상
Q 셀프로 에어컨 설치하면 진짜 괜찮을까요?

기본적인 전기 지식과 도구만 있다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진공작업은 반드시 신중하게 하세요.

Q 벽에 구멍 뚫을 때 무슨 도구가 필요해요?

파이프홀커터 또는 코어드릴이 필요합니다. 석고보드는 쉽지만 콘크리트는 전문가 도움을 추천해요.

Q 진공작업을 생략하면 안 되나요?

절대 생략하면 안 됩니다. 수분과 공기가 시스템에 남으면 냉방 성능이 떨어지고 고장 원인이 돼요.

Q 실외기는 꼭 바닥에 놓아야 하나요?

필수는 아니에요. 벽걸이형 앵글 설치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진동과 고정 안정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Q 배관 길이가 길면 문제가 되나요?

5m를 초과하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요. 길수록 가스량 조절이 더 중요해집니다.

Q 셀프로 설치하고 고장나면 AS는 어떻게 되나요?

제조사 무상 A/S는 대부분 설치불량 시 제외돼요. 가능하면 설치 전 AS정책 꼭 확인하세요.

 

에어컨 설치, 막연히 어렵게만 느껴지셨다면 이제 좀 감이 오셨죠? 물론 전문가의 손길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기본 구조와 순서를 알고 있으면 설치 퀄리티를 체크할 때도 훨씬 유리해요. 실제로 저도 이번 경험을 통해 집에 대한 애정도(?)가 더 커졌달까요. 직접 설치하든, 설치를 맡기든 이 글이 여러분의 여름을 시원하게 바꿔줄 수 있다면 정말 기쁠 것 같아요! 혹시 설치 중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같이 배워가는 재미도 쏠쏠하니까요 😉